분류 전체보기127 RTX 30 시리즈 (비프 경고음 Beep) 4번: RTX 3090, RTX3080 RTX 30시리즈 그리픽카드를 설치하고 전원을 키면 경고음이 삐삐삐삐 4번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. 메인보드 경고음 4번이라고 인터넷에 램 문제, 메인보드의 수은전지 문제등 다양하게 나오지만 모두 뺐다 껴봐도 관련없다. 그래픽 카드와 메인보드간의 호완문제로 아래 그림에서 처럼 컴퓨터를 부팅할때 F2 or Del키를 눌러 바이오스 모드로 들어가 Boot > CSM을 꺼주면 해결된다. 하지만 윈도우가 UEFI로 설치가 되어있지 않으면 윈도우 진입이 안되는데 이럴경우 윈도우를 UEFI모드로 설치해야한다. 경고음 때문에 윈도우를 재설치??? 이 경고음과 RTX 30 시리즈의 성능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고 서비스센터에서 답변을 들었기 때문에 필자는 경고음을 방치하고 쓰기로 마음 먹었다. 시간이 지나면 익숙해지니 걱정.. 2020. 11. 9. Unity 3D: selected Icon 사이즈 변경 보통 Bone에 Tag을 해서 사용하는 Selected Icon의 크기를 변환 시킬 수 있다. Gizmos > 3D Icons play.google.com/store/apps/details?id=com.wonilmax.bonyonline 러브썸 보니 - Google Play 앱 오픈월드형 3D RPG 게임 play.google.com 2020. 11. 8. [2019 -> 2020 Unity 버전 업그레이드]_네임스페이스를 참조하지 못하는 오류 Unity의 Hub의 설치> 새로운 버전을 설치후 > 프로젝트의 Unity 버전을 올려준다. 버전을 올려주면 업데이트 하시겠습니 까? 라는 창이 뜨면 확인을 누르면 버전이 업데이트 된다. [버전을 업그레이드시 오류] 1. 네임스페이스를 참조하지 못하는 오류 프로젝트 폴더 > Package 폴더> manifest.json 파일 의 문제이다. 첫번째 해결방법: 유니티의 PackageManager의 Visual Studio Code 업그레이드. (이것으로 다 해결되는 것 같음.) 두번째 방법 Unity의 External Tools> Embedded packages 체크한 후 Regenerate project files> 그리고 Visual stuio community 2019 로 이동한 후 문제의 스크립트를 .. 2020. 11. 3. Andorid SDK not Found, JAVA_HOME is not set : Unity 3D 2020 Unity3D 2020 버전에서 Android SDK를 찾지 못하고, JAVA경로를 찾지 못하니 Edit > Preference > External tools의 경로로 가서 설정해 주라는 에러가 난다. 필자는 프로젝트를 Unity 2019 -> 2020으로 업그레이드 시키면서 발생된 에러이다. 1) 분명히 설치시에 Recommended로 되어 자동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이런 말도 안되는 에러가 발생한다. 해결 방법은 간단하다. Edit > Preference > External tools 이동 후 JDK와 SDK의 recommended 경로를 그냥 그대로 복사한 후 > 빨간 박스 체크 해제 > 다시 경로를 붙여넣는다. 그리고 Force Resolve를 실시하면 Succeed 된다. play.google.c.. 2020. 10. 31. [Unity3D] htmlString을 이용하여 스크립트에서 color 변경. public GameObject LoadingPanel; private Color color; ColorUtility.TryParseHtmlString(#FFFFF, out color); LoadingPanel.GetComponent().color = color; 빨간색 부분에 원하는 색상의 Hex 코드를 입력하게 되면 색상을 변경 할 수있다. play.google.com/store/apps/details?id=com.wonilmax.bonyonline 러브썸 보니 - Google Play 앱 오픈월드형 3D RPG 게임 play.google.com 2020. 10. 1. Unity3D SetParent GameObject Clone = Instantiate(CubePrefab, transform.position, Quaternion.identity); Clone.transform.SetParent(SphereParent.transform, true); 2가지 주의 깊게 봐야할 것은. CubePrefab의 Local position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현재 스크립트가 가지고 있는 transform.position에 복제를 해주는 형태이다. 예) 현재 스크립트: transform.position (0,0,0) SphereParent: transform.position (1,1,1) 1. transform.position (0,0,0) 2020. 9. 14. 이전 1 ··· 16 17 18 19 20 21 22 다음